항공우주공학과

  • ※ OPEN KAIST가 2025년 10월 30일~31일까지 개최될 예정입니다.
2025.10.30.(목) ~ 10.31.(금), 10:00 ~ 17:00

교내 각 학부(과) 연구실 및 실험실 등

 

항공우주공학과

29 우주를 펼치다: 우주망원경

행사일시
10월 30일(목)
  • 10:00
  • 14:00
   
행사장소
  • N7-2(기계공학동-항공우주공학과) 1층 1307-2호
유형
  • 랩투어
참여 권장 대상
  • 연령무관
  • 프로그램별 소요시간 30분 소요
  • 프로그램별 신청인원1회당 정원
    15명

블랙홀을 직접 보고, 태양계 바깥에 숨어있는 새로운 별과 행성을 찾아낼 수 있다면 어떨까요? 초박형 우주망원경은 기존 망원경보다 훨씬 더 정밀하게 우주를 관찰할 수 있어 별의 탄생과 죽음, 행성의 형성 과정을 생생히 포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 태양계 외곽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미지의 행성(Planet Nine) 같은 숨겨진 천체를 찾아내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우주로 보낼 수 있는 매우 얇고 가벼운 망원경을 만드는 것입니다. 보통 우주망원경은 거울이나 렌즈가 크고 무거워 발사하기 어렵지만, 이 기술은 특수한 플라스틱 필름(폴리이미드)을 사용해 망원경을 아주 얇고 접을 수 있도록 만들어 무게와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였습니다. 덕분에 여러 개의 작은 망원경을 모아 초대형 망원경의 효과를 낼 수도 있고, 우주 탐사나 천문 관측을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극한의 우주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어 미래의 다양한 우주 미션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30 극초음속 연구실 풍동 실험실 Tour

행사일시
10월 30일(목)
  • 14:00
   
행사장소
  • W10(풍동실험실) 3층 3121호
유형
  • 랩투어
참여 권장 대상
  • 중/고등학생 이상
  • 프로그램별 소요시간 20분 소요
  • 프로그램별 신청인원1회당 정원
    15명 내외

극초음속 연구실에서는 음속보다 빠르게 비행하는 초고속 비행체에 대한 공기 열역학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초고속 비행체는 주위에 형성되는 고엔탈피 유동 속에서 다양한 열역학적 현상을 동반하게 되며, 이를 실험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비행체의 안전성 확보에 필수적이다.

본 연구실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충격파 장비 및 아크-제트 풍동 등 다양한 지상 시험 장비를 활용하여 고엔탈피 유동 환경을 모사하고, 해당 환경에서의 유동 진단 및 열역학적 반응 특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 본 행사에서는 지상 시험 장비와 여러 시험 모델을 통해 평소 쉽게 접할 수 없는 항공우주공학 풍동실험에 대해 이해를 도모하고,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시험 장비 전경

시험 모델 및 유동



31 다양한 형태의 드론 세상 소개와 응용

행사일시
10월 31일(금)
  • 11:00
  • 13:00
  • 14:00
  • 15:00
  • 16:00
행사장소
  • 추후 업데이트(홈페이지 참고)
유형
  • 강연
참여 권장 대상
  • 연령무관
  • 프로그램별 소요시간 15분 소요
  • 프로그램별 신청인원1회당 정원
    20명

각 드론별 종류에 대해서 설명하고, 각각의 드론들이 특징을 가지고 어떤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지 일반인 대상으로 쉽게 설명한다.
또한 본 연구실에서 개발하여 실제 비행까지 완료한 호버바이크 축소기를 전시하여 대중들에게 UAM의 가능성에 대해서 전달한다.


무인 헬기 수직이착륙기

멀티콥터 호버바이크 축소기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291 한국과학기술원(KAIST)
담당/문의안내 전화번호 : 042-350-2493(2491~7) / 이메일 : caucow@kaist.ac.kr
Copyright ©  2025 오픈카이스트. All Rights Reserved.